페르난도 솔라나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아르헨티나의 영화 감독, 작가, 정치인이다. 1936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나 연극, 음악, 법학을 공부한 후 1962년 단편 영화로 데뷔했다. 1968년 옥타비오 헤티노와 공동 제작한 다큐멘터리 《불타는 시》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이후 독재 정권에 저항하는 영화 운동을 이끌었다. 1970년대에는 정치적인 내용의 영화를 제작했으며, 1976년 군부 쿠데타 이후 프랑스로 망명하여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1985년 귀국 후 《탱고: 가르델의 망명》, 《남쪽》 등 작품을 발표하며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정치 활동과 영화 제작을 병행했으며, 2020년 코로나19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망명자 - 후안 도밍고 페론
후안 도밍고 페론은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46년과 1973년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하며 사회 정의와 자립 경제를 추구했으나, 언론 탄압과 쿠데타로 실각하기도 했으며, 그의 사후에도 페론주의는 아르헨티나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 - 아르헨티나의 망명자 - 후아나 비뇨치
아르헨티나 출신 시인이자 번역가인 후아나 비뇨치는 공산당 활동과 시인 동인 '딱딱한 빵' 활동을 통해 사회주의적 가치를 알렸으며, 스페인 망명 시기 번역가로 활동하며 페미니즘, 사회 비판, 개인의 정체성을 다룬 독특한 시 세계를 구축했다. - 아르헨티나의 영화 감독 - 가스파 노에
아르헨티나 출신 프랑스 영화 감독 가스파 노에는 에콜 루이 뤼미에르에서 영화를 공부했으며, 뉴 프렌치 익스트리미티 경향의 작품으로 인간의 어두운 면을 극단적으로 묘사하여 논란과 함께 영화의 경계를 넓히는 실험 정신을 인정받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영화 감독 - 안드레스 무스키에티
아르헨티나 출신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인 안드레스 무스키에티는 《마마》로 데뷔하여 《그것》, 《플래시》 등의 공포 및 히어로 영화를 연출했고, 앞으로 《더 브레이브 앤 더 볼드》 연출을 맡을 예정이다. - 화기 생존자 - 마르틴 모이즈
마르틴 모이즈는 아이티의 영부인이며, 1997년 통역학 학위를 받고 2016년 영부인이 되어 여성 문제와 지역 개발에 힘썼으며, 2021년 남편 암살 사건 이후 공모 혐의로 기소되었다. - 화기 생존자 - 로베르트 피초
로베르트 피초는 슬로바키아의 정치인으로, 세 차례 총리를 역임했으며, 친러시아 성향을 보이며 우크라이나 지원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2024년 암살 시도를 겪었다.
페르난도 솔라나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페르난도 에세키엘 '피노' 솔라나스 |
다른 이름 | 페르난도 E. 솔라나스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정치인 |
출생 | 1936년 2월 16일,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올리보스 |
사망 | 2020년 11월 6일, 프랑스뇌이쉬르센 |
사망 원인 | 코로나19 |
정치 경력 | |
직책 | 아르헨티나 유네스코 대사 |
임기 시작 | 2019년 12월 10일 |
임기 종료 | 2020년 11월 6일 |
이전 | 로돌포 테라뇨 |
이후 | 마르셀라 로사르도 |
직책 1 | 국가 상원 의원 |
임기 시작 1 | 2013년 12월 10일 |
임기 종료 1 | 2019년 12월 10일 |
선거구 1 | 부에노스아이레스 |
직책 2 | 국가 하원 의원 |
임기 시작 2 | 2009년 12월 10일 |
임기 종료 2 | 2013년 12월 10일 |
선거구 2 | 부에노스아이레스 |
정당 | 광역전선 수르 계획 |
기타 정당 | 남부 동맹 광역전선 UNEN 크레오 모두를 위한 전선 |
영화 경력 | |
활동 기간 | 1962년 - 2020년 |
주요 작품 | 『불타는 시간』(1968년) 『남쪽/그 너머엔… 사랑』(1988년) |
칸 국제 영화제 수상 | 감독상 1988년 『남쪽/그 너머엔… 사랑』 프랑스 영화 고등 기술 위원회상 1992년『라틴 아메리카/빛과 그림자의 시』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수상 | 심사위원 특별 대상 1985년 『탱고 - 가르델의 망명 -』 |
베를린 국제 영화제 수상 | 명예 황금곰상 2004년 |
2. 생애
1936년 2월 16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12][13] 영화 감독이 되기 전에 연극, 음악, 법학을 공부했다.[12] 1962년에는 첫 작품인 단편 영화 『''Seguir andando''』를 제작했다.[12] 1968년에는 옥타비오 헤티노와 공동 제작한 첫 장편 다큐멘터리 『''La hora de los hornos: Notas y testimonios sobre el neocolonialismo, la violencia y la liberación'' (불타는 시: 신 식민주의의 기록과 증언, 폭력과 해방)』을 발표했다.[14] 같은 해 만하임 국제 영화제에서 관객상,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등 4개의 상을 수상했다.[14] 1972년에는 영국 영화 협회 서덜랜드 컵을 수상했다.[15] 이후 독재 정권에 저항하는 1960년대 후반의 아르헨티나 영화 운동 "'''Grupo Cine Liberación영어'''"을 헤티노, 헤랄도 바예호와 함께 이끌었다.[12][16]
1971년에 두 편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후[13], 1975년에 첫 장편 극 영화 『''Los hijos de Fierro'' (피에로의 아들들)』을 발표했다.[17] 아르헨티나의 국민 작가 마르틴 피에로를 다룬 이 작품은[17], 출연자 중 한 명이 암살당하는 사건을 겪었지만[18], 1978년 제25회 칸 영화제의 감독 주간 부문에 출품되었다.[19] 그 후, 1976년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를 중심으로 한 군부 쿠데타로 독재 정권이 수립되자, 솔라나스는 이듬해 1977년 가족과 함께 파리로 망명했다.[20] 이후 8년 동안 프랑스를 활동 거점으로 삼았다.[20]
1980년 프랑스 자본으로 제작한 다큐멘터리 『''Le regard des autres'' (타인의 시선)』을 발표했다.[21] 제33회 칸 영화제의 프랑스 영화의 전망 부문에 출품되었다.[22] 1985년 2년 전 조국의 민주화에 따라 8년 만에 아르헨티나로 귀국했다. 같은 해, 아르헨티나에서 파리로 망명한 여배우를 주인공으로 조국에 대한 향수를 그린 『탱고: 가르델의 망명』을 발표했다.[23] 이 작품은 제42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 이탈리아 비평가상, 유니세프상을 수상했다.[23] 이듬해 1986년 제11회 세자르상에서는 음악상을 아스토르 피아졸라와 호세 루이스 카스티네이라 데 디오스가 수상했다.[23] 솔라나스의 작품은 검열로 상영 금지 처분을 받기도 했지만, 이 작품은 1986년에 아르헨티나에서도 극장 개봉되었다.[24] 또한 이 작품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극장 개봉된 솔라나스의 작품이기도 하다.[25] 1988년, 16년 만에 아르헨티나에서 제작한 『수르/그 너머는... 사랑』을 발표했다.[26] 독재 정권이 붕괴된 1983년의 아르헨티나를 무대로, 파란색을 기조로 한 영상과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탱고를 사용하여, 감옥에서 출소한 활동가의 주인공이 가족의 곁으로 돌아가기까지의 하룻밤과 주인공과 그 주변 사람들의 회상을 통해 독재 정권 하의 아르헨티나를 총 4부로 구성하여 그렸다.[27] 이 작품은 제41회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27] 솔라나스는 이 작품을 "사랑에 관한 영화"라고 말했다.[20]
1992년 아버지를 찾아 아르헨티나에서 멕시코까지 여행하는 소년을 주인공으로 라틴 아메리카의 정경을 그린 『라틴 아메리카/빛과 그림자의 시』를 발표했다.[28] 같은 해 제45회 칸 영화제에서 프랑스 영화 고등 기술 위원회상,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29][28] 그러나 아르헨티나의 정치적 부패를 비판하는 묘사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솔라나스는 당시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으로부터 명예 훼손으로 고소당했으며, 법정에서 증언한 다음 날, 정체불명의 인물에게 총격을 당하는 사건을 겪었다.[30] 또한 이 작품은 1992년에 사망한 아스토르 피아졸라가 영화 음악을 담당한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30]
극 영화는 1998년 『더 클라우드/비 내리는 부에노스 아이레스』를 마지막으로 제작하지 않았지만[31], 2000년대 이후 다수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하고 있다.[31] 2004년에는 영화 예술에 대한 지대한 공헌을 기려 제5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명예 황금곰상을 수상했다.[32]
2020년 7월 유네스코 친선 대사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재임 중 코로나19 (COVID-19)에 감염되어 수 주간의 투병 생활 끝에 파리에서 사망했다. 향년 84세.[9]
2. 1. 초기 생애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1936년 2월 16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12][13] 영화 감독이 되기 전에 연극, 음악, 법학을 공부했다.[12] 1962년에는 첫 작품인 단편 영화 『''Seguir andando''』를 제작했다.[12] 1968년에는 옥타비오 헤티노와 공동 제작한 첫 장편 다큐멘터리 『''La hora de los hornos: Notas y testimonios sobre el neocolonialismo, la violencia y la liberación'' (불타는 시: 신 식민주의의 기록과 증언, 폭력과 해방)』을 발표했다.[14] 이 영화는 만하임 국제 영화제에서 관객상,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등 4개의 상을 수상했다.[14] 1972년에는 영국 영화 협회 서덜랜드 컵을 수상했다.[15]1971년에 두 편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후,[13] 1975년에 첫 장편 극 영화 『''Los hijos de Fierro'' (피에로의 아들들)』을 발표했다.[17] 아르헨티나의 국민 작가 마르틴 피에로를 다룬 이 작품은,[17] 출연자 중 한 명이 암살당하는 사건을 겪었지만,[18] 1978년 제25회 칸 영화제의 감독 주간 부문에 출품되었다.[19]
솔라나스는 옥타비오 게티노와 함께 "제3 영화로"라는 선언문을 썼다. 할리우드 영화와 작가주의 영화에 반대하는 정치적 제3 영화의 아이디어는 이른바 개발 도상국 영화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1976년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를 중심으로 한 군부 쿠데타로 독재 정권이 수립되자, 솔라나스는 이듬해 1977년 가족과 함께 파리로 망명했다.[20] 이후 8년 동안 프랑스를 활동 거점으로 삼았다.[20]
2. 2. 영화계 입문 (1960년대)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1936년 2월 16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나[12][13] 영화 감독이 되기 전 연극, 음악, 법학을 공부했다.[12] 1962년 첫 단편 영화 ''Seguir andando''를 제작했고,[12] 1968년에는 옥타비오 헤티노와 함께 첫 장편 다큐멘터리 ''La hora de los hornos: Notas y testimonios sobre el neocolonialismo, la violencia y la liberación'' (불타는 시: 신 식민주의의 기록과 증언, 폭력과 해방)를 발표하여[14] 만하임 국제 영화제에서 4개의 상을 수상하고,[14] 1972년 영국 영화 협회 서덜랜드 컵을 수상했다.[15]1960년대 후반, 솔라나스는 옥타비오 게티노, 헤랄도 바예호와 함께 독재 정권에 저항하는 아르헨티나 영화 운동 "씨네 리베라시온 그룹(Grupo Cine Liberación)"을 이끌었다.[12][16] 솔라나스는 게티노와 함께 "제3 영화로"라는 선언문을 작성했는데, 할리우드 영화와 작가주의 영화에 반대하는 정치적 제3 영화의 이념은 개발 도상국 영화 제작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970년대에 솔라나스는 페론[3] 지지 운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우익 세력의 위협으로 배우가 암살당하고 본인도 납치될 뻔했다.[18] 1975년에는 첫 장편 극 영화 ''Los hijos de Fierro'' (피에로의 아들들)를 발표했다.[17] 마르틴 피에로를 다룬 이 작품은[17] 1978년 제25회 칸 영화제 감독 주간 부문에 출품되었다.[19] 1976년 군부 쿠데타 이후, 1977년 가족과 함께 파리로 망명하여[20] 8년간 프랑스에서 활동했다.[20]
2. 3. 망명과 귀환 (1970년대 ~ 1980년대)
솔라나스는 1970년대 아르헨티나 영화계를 뒤흔든 ''씨네 리베라시온 그룹''(Grupo Cine Liberación)의 선두 주자였으며, 사회적 의식과 정치적 발언을 발전시켰다.[12] 그는 페론을 지지하는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 1970년대 우익 세력의 위협을 받아 그의 배우 중 한 명이 암살당했으며, 그 자신도 납치될 뻔했다. 옥타비오 게티노와 함께 "제3 영화로"라는 선언문을 썼다. 할리우드 영화와 작가주의 영화에 반대하는 정치적 제3 영화의 아이디어는 이른바 개발 도상국 영화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1971년에 두 편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후[13], 1975년에 첫 장편 극 영화 『''Los hijos de Fierro'' (피에로의 아들들)』을 발표했다.[17] 아르헨티나의 국민 작가 마르틴 피에로를 다룬 이 작품은[17], 출연자 중 한 명이 암살당하는 사건을 겪었지만[18], 1978년 제25회 칸 영화제의 감독 주간 부문에 출품되었다.[19]
1976년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를 중심으로 한 군부 쿠데타로 독재 정권이 수립되자,[20] 솔라나스는 이듬해 1977년 가족과 함께 파리로 망명했다.[20] 이후 8년 동안 프랑스를 활동 거점으로 삼았다.[20] 1980년 프랑스 자본으로 제작한 다큐멘터리 『''Le regard des autres'' (타인의 시선)』을 발표했다.[21] 제33회 칸 영화제의 프랑스 영화의 전망 부문에 출품되었다.[22]
1983년 민주주의가 도래한 후, 솔라나스는 아르헨티나로 돌아왔다.[20] 1985년에는 아르헨티나에서 파리로 망명한 여배우를 주인공으로 조국에 대한 향수를 그린 『''탕고: 가르델의 망명''』을 발표했다.[23] 이 작품은 제42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 이탈리아 비평가상, 유니세프상을 수상했다.[23] 이듬해 1986년 제11회 세자르상에서는 음악상을 아스토르 피아졸라와 호세 루이스 카스티네이라 데 디오스가 수상했다.[23] 솔라나스의 작품은 검열로 상영 금지 처분을 받기도 했지만, 이 작품은 1986년에 아르헨티나에서도 극장 개봉되었다.[24]
2. 4. 정치 활동과 후기 영화 (1990년대 ~ 2020년)
솔라나스는 정치 영화 제작을 지속하며 카를로스 메넴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4] 1991년 5월 21일, 이러한 비판을 한 지 사흘 만에 다리에 여섯 발의 총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4] 범인은 검거되지 않았지만, 솔라나스는 메넴 대통령이 배후에 있다고 확신했다.[4] 이러한 공격과 장애에도 불구하고 정치 활동에 더욱 매진하여 1992년 부에노스 아이레스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 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4] 1993년에는 프렌테 그란데 소속으로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년 후 탈당했다.[4]1992년에는 아버지를 찾아 아르헨티나에서 멕시코까지 여행하는 소년을 주인공으로 라틴 아메리카의 정경을 그린 『라틴 아메리카/빛과 그림자의 시』를 발표했다.[28] 이 영화는 제45회 칸 영화제에서 프랑스 영화 고등 기술 위원회상과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29][28] 하지만 아르헨티나의 정치적 부패를 비판하는 내용 때문에, 솔라나스는 당시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에게 명예 훼손으로 고소당했고, 법정 증언 다음 날 괴한에게 총격을 당했다.[30]
솔라나스는 2005년 《가난한 사람들의 존엄》, 2008년 《마지막 역》 등 다큐멘터리 영화를 지속적으로 쓰고 연출했다.[4] 2007년 10월에는 진정한 사회주의당 소속으로 2007년 아르헨티나 총선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1.58%의 득표율로 5위를 기록했다.[4] 2009년 6월 28일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프로젝트 수르는 24.2%의 득표율로 시에서 두 번째로 큰 정치적 대표성을 확보했다.[4] 2013년에는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2019년까지 부에노스 아이레스 시를 대표했다.[4]
2018년, 솔라나스는 성적 쾌락이 "기본적인 인권"이라 주장하며 낙태 합법화를 강력히 지지했다.[5]
2019년, 상원 의원 임기 만료 후 유네스코 주재 아르헨티나 대사로 임명되었다.[1] 2020년 11월 6일 프랑스 뇌이쉬르센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코로나19로 사망할 때까지 대사직을 수행했다.[1]
3. 작품 목록
- ''계속 걸어가다'' (1962) (단편)
- ''시민의 성찰'' (1963) (단편)
- ''용광로의 시간''(La hora de los hornos) (1968)
- ''아르헨티나, 1969년 5월: 해방의 길'' (1969)
- ''페론, 정의주의 혁명'' (1971)
- ''페론: 권력 장악을 위한 정치적, 교리적 갱신'' (1971)
- ''강철의 아이들'' (1972)
- ''타인의 시선'' (1980) 프랑스 파리에서 촬영
- ''가르델의 망명 (탱고)''(El exilio de Gardel (Tangos)) (1985)
- ''남쪽''(Sur) (1988)
- ''여행''(El viaje) (1992)
- ''구름'' (1998)
- ''아프로디테, 사랑의 맛'' (2001)
- ''약탈의 기억'' (2004)
- ''아무도 아닌 자들의 존엄성'' (2005)
- ''잠재된 아르헨티나'' (2007)
- ''다음 역'' (2008)
- ''들고 일어선 땅: 순수한 금'' (2009)
- ''들고 일어선 땅: 검은 금'' (2011)
- ''프래킹 전쟁'' (2013)
- ''후안 페론의 전략적 유산'' (2016)
- ''살충제 살포 마을로의 여행'' (2018)
- ''창조적 행위의 표류에 있는 셋'' (2021)
- ''불의 시간: 신식민주의, 폭력, 해방에 대한 노트와 증언''(La hora de los hornos: Notas y testimonios sobre el neocolonialismo, la violencia y la liberación, 1968년) 다큐멘터리
- ''피에로의 아이들''(Los hijos de Fierro, 1975년)
- ''탱고 - 가르델의 망명(Tangos, l'exil de Gardel, 1986년)
- ''남쪽/그 너머, 사랑(Sur, 1988년)
- ''라틴 아메리카/빛과 그림자의 시(El Viaje, 1992년)
- ''더 클라우드/비 내리는 부에노스 아이레스(La nube, 1998년)
4. 수상 및 후보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 및 후보에 올랐다.[6]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1985년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6] 1998년에는 시네마브베니레상(경쟁 부문 최우수 영화)과 유네스코상 - 특별 언급을 수상했으며, 황금사자상 후보에 올랐다.[6] 2005년에는 로마시상(최우수 영화), Doc/It상, 인권 영화 네트워크상을 수상했다.[6]
2001년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에서 그랑프리 스페셜 데 아메리카를 수상했다.[6]
마르델플라타 국제 영화제에서 2004년에 최우수 영화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6]
1968년 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에서 인터필름상을 수상했다.[6]
하바나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였다.[6] 2007년에는 심사위원 특별상(다큐멘터리)을 수상하였고,[6] 2005년에는 메모리아 다큐멘터리상과 사울 옐린상을 수상하였다.[6] 1998년에는 CARACOL상, 명예상, 사울 옐린상을 수상하였고,[6] 1992년에는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하였다.[6] 1988년과 1985년에는 그랜드 코랄 - 1등상을 수상하였다.[6]
1992년 그라마도 영화제에서 황금 키키토 (최우수 이베로 아메리카 영화) 부문 후보에 올랐다.[6]
칸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수상 및 후보에 올랐다.[6] 1988년에는 《남쪽》으로 감독상을 수상했고,[6] 황금종려상 후보에도 올랐다.[6] 1989년과 1990년에는 관객상을 수상했다.[6] 1992년에는 《여행》으로 기술 그랑프리를 수상하고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에서 특별 언급되었으며,[6]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다.[6]
1972년 영국 영화 협회상에서 서덜랜드 트로피를 수상했다.[6]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2004년 명예 황금 곰상을 수상했고,[6] 1971년에는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 특별 언급을 수상했다.[6]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에서 1987년에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감독),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음악)을 수상했다.[6] 1999년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감독) 후보에 올랐고,[6] 2005년에는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장편 다큐멘터리 각본) 후보에 올랐다.[6] 2006년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각본, 다큐멘터리) 후보, 2008년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 후보, 2009년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편집),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각본, 다큐멘터리) 후보, 2010년 은색 콘도르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 후보에 올랐다.[6]
아르헨티나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상에서 2008년 아르헨티나 아카데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을 수상하고,[6] 2009년에 후보로 올랐다.[6]
4. 1.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1985년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6] 1998년에는 시네마브베니레상(경쟁 부문 최우수 영화)과 유네스코상 - 특별 언급을 수상했으며, 황금사자상 후보에 올랐다.[6] 2005년에는 로마시상(최우수 영화), Doc/It상, 인권 영화 네트워크상을 수상했다.[6]4. 2.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2001년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에서 그랑프리 스페셜 데 아메리카를 수상했다.[6]4. 3. 마르델플라타 국제 영화제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마르델플라타 국제 영화제에서 2004년에 최우수 영화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6]4. 4. 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1968년 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에서 인터필름상을 수상했다.[6]4. 5. 하바나 영화제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하바나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였다.[6] 2007년에는 심사위원 특별상(다큐멘터리)을 수상하였고,[6] 2005년에는 메모리아 다큐멘터리상과 사울 옐린상을 수상하였다.[6] 1998년에는 CARACOL상, 명예상, 사울 옐린상을 수상하였고,[6] 1992년에는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하였다.[6] 1988년과 1985년에는 그랜드 코랄 - 1등상을 수상하였다.[6]4. 6. 그라마도 영화제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1992년 그라마도 영화제에서 황금 키키토 (최우수 이베로 아메리카 영화) 부문 후보에 올랐다.[6]4. 7. 칸 영화제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칸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수상 및 후보에 올랐다.[6] 1988년에는 《남쪽》으로 감독상을 수상했고,[6] 황금종려상 후보에도 올랐다.[6] 1989년과 1990년에는 관객상을 수상했다.[6] 1992년에는 《여행》으로 기술 그랑프리를 수상하고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에서 특별 언급되었으며,[6]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다.[6]4. 8. 영국 영화 협회상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1972년 영국 영화 협회상에서 서덜랜드 트로피를 수상했다.[6]4. 9. 베를린 국제 영화제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2004년 명예 황금 곰상을 수상했고,[6] 1971년에는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 특별 언급을 수상했다.[6]시상식 | 연도 | 부문 | 결과 |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2004 | 명예 황금 곰상 | 수상 |
1971 |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 특별 언급 | 수상 |
4. 10.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4. 11. 아르헨티나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상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 및 후보에 올랐다.[6]시상식 | 연도 | 부문 | 결과 |
---|---|---|---|
아르헨티나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상 | 2009 | 아르헨티나 아카데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 후보 |
아르헨티나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상 | 2008 | 아르헨티나 아카데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 수상 |
참조
[1]
웹사이트
Murió por coronavirus en París el político y cineasta Fernando "Pino" Solanas
https://www.infobae.[...]
2020-12-04
[2]
웹사이트
21st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99)
http://www.moscowfil[...]
2013-03-23
[3]
웹사이트
Fernando Solanas (1936-2020)
https://www.sabzian.[...]
[4]
뉴스
Fernando Solanas, Argentine Filmmaker and Politician, Dies at 84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2-08
[5]
뉴스
Fernando Solanas, Argentine Filmmaker and Politician, Dies at 84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2-08
[6]
웹사이트
Fernando E. Solanas Awards - List of awards won by Fernando E. Solanas, including award nominations - FamousFix
https://www.famousfi[...]
2021-12-08
[7]
웹사이트
Program in Film and Video
http://filmvideo.cal[...]
calarts.edu
2011-04-23
[8]
웹사이트
Quotes on Documentary
http://documentaryis[...]
2021-12-06
[9]
뉴스
Murió por coronavirus en París el político y cineasta Fernando “Pino” Solanas
https://www.infobae.[...]
2020-11-07
[10]
웹사이트
Fernando (ezequiel) SOLANAS
http://www.festival-[...]
2014-08-31
[11]
웹사이트
Fernando Pino Solanas Sitio Oficial
http://www.pinosolan[...]
2014-08-31
[12]
웹사이트
Vida
http://www.pinosolan[...]
2014-08-31
[13]
웹사이트
Fernando E. Solanas
https://www.imdb.com[...]
2014-08-31
[14]
웹사이트
La hora de los hornos (1968)
http://www.pinosolan[...]
2014-08-31
[15]
웹사이트
Sutherland Trophy (London Film Festival Awards) - Winners
http://awardsandwinn[...]
2014-08-31
[16]
웹사이트
Muere Gerardo Vallejo, fundador de Grupo Cine Liberación
http://noticias.kino[...]
2014-08-31
[17]
웹사이트
Los hijos de Fierro (1975)
http://www.pinosolan[...]
2014-08-31
[18]
서적
カンヌ映画祭の50年
1998
[19]
서적
カンヌ映画祭の50年
1998
[20]
웹사이트
フェルナンド・E・ソラナス/Fernando E. Solanas
http://c-cross.cside[...]
2014-08-31
[21]
웹사이트
La mirada de los otros (1980, Paris)
http://www.pinosolan[...]
2014-08-31
[22]
서적
カンヌ映画祭の50年
1998
[23]
웹사이트
El exilio de Gardel (1985)
http://www.pinosolan[...]
2014-08-31
[24]
웹사이트
El exilio de Gardel: Tangos (1985) Release Info
http://www.imdb.com/[...]
2014-08-31
[25]
웹사이트
タンゴ ガルデルの亡命(1985)
https://www.allcinem[...]
2014-08-31
[26]
웹사이트
Sur (1988)
http://www.pinosolan[...]
2014-08-31
[27]
웹사이트
Sur
http://www.festival-[...]
2014-08-31
[28]
웹사이트
El viaje (1992)
http://www.pinosolan[...]
2014-08-31
[29]
웹사이트
El Viaje
http://www.festival-[...]
2014-08-31
[30]
웹사이트
ラテン・アメリカ/光と影の詩(1992)
https://www.allcinem[...]
2014-08-31
[31]
웹사이트
Peliculas
http://www.pinosolan[...]
2014-08-31
[32]
웹사이트
Press Photos 2004
http://www.berlinale[...]
2014-08-31
[33]
웹인용
Murió por coronavirus en París el político y cineasta Fernando “Pino” Solanas
https://www.infobae.[...]
2020-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